백화현상 원인 대책

글쓴이 : 관리자 조회: 1378 작성일 : 21-10-30 11:58:59
*건축물의 백화현상 원인과 대책

제목 : 건축물의 백화현상 원인과 대책

1.백화현상
1). 수용성 염류 : 건축물의 시멘트,몰탈, 벽돌, 타일 ,석재, 콘크리트등에 포함된 탄산칼슘, 황산염,
수산화칼슘등이 물과 결합하여 표면에 생기는 흰색의 결정체
 
2). 수분의 이동 : , , 지하수, 내부 누수등으로 구조물 내부 수분이 표면으로 이동과 수분의
증발 시 염류만 표면에 남아 있는 현상

 
 
2. 백화현상의 원인
1). 설계 미비로 인해 재료와 재료 사이의 수밀성 미확보로 우수의 침입과 마감 재료의
화학적 반응으로 발생

 
2). 시공시 이음새 부위 마감 불량으로 물침입등이 원인이고, 콘크리트나 마감 재료의 충분한 양생이 미흡,
배수, 방수 불량, 줄눈 충진 불량, 자재 보관시 비,습기 노출등이 원인
 
 
3. 백화현상의 방지
1). 설계시 철저한 지반 조사와 부동침하 점검,재료와 재료 사이의 수밀성 확보,신축성이
좋은 이음재 씰링재를 사용하고
, 마감재료는 반응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양질의 자재로 시공
 
2).흡수율이 낮고 염류가 적은 양질의 자재를 사용하고, 시멘트,몰탈의 수화 반응이 안정되도록 관리하고,
외벽,옥상,지하 구조물에 적절한 방수층을 밀실하게 시공하고, 배수구를 충분히 확보
 
3). 줄눈,이움부 처리는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치밀하게 시공,건축물 내부 결로방지,환기 설계로 통기성을 확보
 
4). 구조체인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확보하고,마감재료 표면과 콘크리트에 발수재를 도포하며,
특히 취악한 부위 처마, 창대, 차양, 파라펫등 우수 차단 시설을 설치
 
5). 자재 현장 반입 후 우수 습기등으로부터 차단 할 수 있는 파렛트 적재와 포장등으로
이물질 침투 및 습기 차단에 역점하고
, 자재 적재는 가급적 세워서 적재(습기가 밑으로 흐름)
 
 
4.백화현상 발생 후 대책
 1). 건식 청소로는 솔이나 브러쉬로 표면의 백색 가루를 제거하고, 습식 세척으로는 묽은 염산 또는
염산에 물
(염산1 : 5)을 섞어 깨끗이 세척하고, 맑은 물로 충분히 헹구워 냄
 
2). 또한 백식초로 세척한 후, 깨끗한 물로 헹구워 냄
 
3). 마감재의 동결융해가 되지 않도록 마감재 표면을 주기적(1~2)으로 점검하고 방수제나 발수제를 도포함
 
4). 심한 경우 재시공
 
 
5. 끝으로 나의 의견
 1). 백화현상은? 일단 발생하면 원상태로 80%~100% 회복하기는 불가능하며, 초기 단계인 설계에서부터 마감재료
선택까지 방수 및 발수 계획을 철저히 계획 수립하고
, 양질의 자재 선택과 세밀한 시공이 최우선 되어야 합니다.
 
 
*본 자료 복사나 인용시 출처(출처:유니톤)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유니톤(정인기)


 
목록
다음게시물 ▲ 석재 공극률 투수율
▲ 석재 오염 발수처리
▲ 석재 건식공법
이전게시물 ▼ 인조라임스톤 이해